세계증시 시총 52일 만에 1경9천조 증발
페이지 정보
pike관련링크
본문
![GYH2020031500120004400_P4.jpg](https://img5.yna.co.kr/etc/graphic/YH/2020/03/15/GYH2020031500120004400_P4.jpg)
이는 한국 국내총생산(GDP)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.
15일 블룸버그가 86개국 증시의 시총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이달 12일(이하 현지시간) 현재 이들 국가의 증시 시총은 72조4천869억달러(약 8경8천232조 원)로 코로나19 이전 고점인 1월 20일(89조1천565억 달러)보다 16조6천696억 달러(18.7%) 줄었다.
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52일 만에 1경9천475조원이 증발한 셈이다.
1천893조원(2018년 기준)인 한국 국내총생산(GDP)의 10.3배에 달하는 규모다.
이로써 세계 증시는 약세장 진입을 코앞에 두게 됐다. 일반적으로 주가가 최근 고점 대비 20% 이상 하락하면 추세적 하락을 의미하는 약세장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.
세계 증시는 2주 전인 지난달 27일까지도 전 고점 대비 6.73%의 낙폭을 보였으나 3월 들어 코로나19가 중국 밖으로 빠르게 퍼지면서 팬데믹(세계적 대유행)으로 악화하자 하락세에 가속도가 붙었다.
이 기간 증시가 하락세를 기록한 국가는 82개국이고, 상승한 국가는 4개국에 불과했다.
20% 이상 낙폭을 보인 국가는 33곳이었다.
국가별로는 러시아 증시의 시총이 8천53억 달러에서 5천64억 달러로 2천989억 달러가 줄어 감소율이 37.12%에 달했다.
코로나19 여파에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유가 인하 경쟁으로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겹악재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.
이어 콜롬비아(-35.92%), 노르웨이(-35.40%), 브라질(-34.98%), 슬로바키아(-34.60%), 호주(-33.14%), 태국(-32.54%), 그리스(-31.75%) 등 순으로 시총 감소율이 컸다.
한국 증시의 시총은 1조4천768억 달러에서 1조1천505억 달러로 22.09%(3천263억 달러) 줄어 감소율이 28번째였다.
추천 0
작성일2020-03-15 09:15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